눈 속에 있는 '방수' 라는 액체가 정상적으로 흘러가지 못하여, 눈 안의 압력이 올라가 시신경이 손상되는 질환입니다.
완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검안과 치료가 필수이며, 증상이 뚜렷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녹내장 시야
정상 시야
녹내장은 있으나 시야 결손이 안느껴짐
나이가 많을수록 유병률 증가
안구 외상을 심하게 받은 경우
가족 중에 녹내장 환자가 있는 경우
당뇨병, 고혈압, 저혈압, 동맥경화 등 혈류 순환 장애가 있는 경우
근시가 있는 경우, 고도근시인 경우
재발성 포도막염이 있는 경우
정상 시야
초기 녹내장
중증 녹내장
개방각 녹내장은 녹내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 중 정상안압녹내장은 만성적으로 서서히 시신경이 손상됩니다.
주변시야의 손상이 먼저 오고 중심시야는 말기까지 보존되는 경우가 많은데, 초기에는 거의 자각증상이 없다가 말기에 가서야 자각증상을 호소하기 때문에 증상만으로 조기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급성 폐쇄각 녹내장 | VS | 만성 폐쇄각 녹내장 |
---|---|---|
방수의 배출구가 갑자기 막혀 안압이 급격히 상승 |
원인 | 방수 배출이 서서히 차단되어 안압이 점진적으로 상승 |
· 심한 안구 통증 및 충혈 · 갑작스러운 시력 저하 및 시야 흐림 · 두통 및 편두통 · 구역질 및 구토 · 광원 주변에 후광 현 |
증상 |
· 초기에는 무증상이나 서서히 진행 · 주변 시야부터 점진적 소실 · 빛 번짐 및 대비 감각 저하 · 후기에는 중심 시야까지 손상 |
급성 폐쇄각 녹내장은 응급 질환으로 즉시 치료해야 하며, 만성 폐쇄각 녹내장은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필수적!
이차녹내장은 백내장, 포도막염이나 신생혈관 형성으로 인해 안압이 상승하여 발생합니다.
포도막염은 염증 물질이 섬유주를 막아 안압을 올리고, 신생혈관은 홍채와 전방각을 막아 출혈·염증을 유발합니다.
치료는 원인질환 조절이 우선이나, 안압이 조절되지 않으면 수술이 필요하며 실명 위험이 높아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됩니다.
시력 저하
눈부심
충혈
통증
정상안압녹내장은 안압이 정상범위(10~20mmHg)임에도 시신경이 약해져 발생하는 원발 개방각 녹내장의 한 유형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노화, 근시, 가족력이 있으며, 특히 40세 이상이거나 근시·가족력이 있는 경우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서서히 진행되며 다행히 조기 발견 후 꾸준한 관리로 실명까지 진행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시야결손
시력 저하
눈의 피로감
(불편감)
두통
대표적으로 방수 유출로가
물최적으로 폐쇄되는
폐쇄각 녹내장에서 시행
방수 유출로의 구조적 변화를
유발하여, 방수 유출을 층가시켜
안압 하강을 유발하는 방법
안구 표면에서, 방수 생성 조직인
섬모체에 간접적으로 열손상을
전달해, 방수 생성을
줄여주는 방법
섬유주
절제술
녹내장 수술 중 가장 전통적인 수술로 안구 외부, 테논낭 아래에 '여과포' 라는 방수 유출 주머니를 만들어주는 수술입니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시행되는 녹내장 수술입니다.
방수 유출
장치 삽입술
안구 외 후부, 테논낭 아래에 방수 유출 장치를 삽입함으로써 안압 하강을 시켜주는 수술로 과한 염증성 반응으로
섬유주 절제술의 효과가 좋지 않은 환자나 수술의 효과가 없어졌을 때 추가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수술 후 3개월 내 안압이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고안압기(hypertensive phase)를 거처 안압이 안정됩니다.
최소 침습
녹내장 수술
기존 방수 유출 장치보다 미세한 스텐트를 안구내에 삽입하여 섬유주 맥락막 위, 결막하 등으로 방수 유출을 일으켜 안압을
하강 시키는 수술입니다. 가장 최근에 시행된 수술로 짧은 시간안에 수술이 가능하며 염증반응이 가장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녹내장은 일단 발생하면 완치할 수 있는 병은 아니지만 잘 조절하여 더 이상 시신경 손상이 진행하지 않으면 평생 실명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평생 조절과 관리가 필요한 불편한 질환입니다. 녹내장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기 때문에 모든 환자가 결코 동일할 수 없으므로 안과 전문의의 진찰과 검사를 통해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또 치료를 시작한 이후에도 안압검사, 시신경검사, 시야검사, 시신경 빛간섭단층촬영 등을 정기적으로 하여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치료를 조정해야 합니다.
안압 상승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방수 유출로가 막히는 급성 폐쇄각 녹내장 또는 안내 염증으로 인해 발생히는 안압 상승의 경우에는 안압 상승이 급격하므로, 심하게는 안구통, 오심, 구토, 두통이 발생하며, 약하게는 뿌영게 보이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안압 상승이 급격하지 않을 경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습니다.
녹내장 환자는 비녹내장 환자에 비해 운전의 위험 성이 높으며 특히 야간에 운전하는 경우에는 그 위 험성이 더 높습니다.
특히 시야의 아래쪽 손상보다는 위쪽 손상이 있을 때 또 안개가 끼거나 비가 오는 상황, 그리고 야간 운전 등에서 더 위험할 수 있어 이러한 경우에는 더 욱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