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박리는 망막이 안구 내벽에서 떨어져 시세포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이나 안구 위축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망막유리체 수술이 필요합니다. 매년 1만 명 중 1명꼴로 발생하며, 중년 이후에 흔하지만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인 심각한 안과 질환입니다.
눈의 노화가 시작되는
40대 이상
고도근시가 있거나
초고도근시가 있는 경우
가족 중 망막 질환이
있는 경우
외부충격이나
안내출혈이 있는 경우
초기에는 눈 앞에 날파리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비문증과 눈을 감아도 빛이 어른거려 보이는 광시증을 느낄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사물이 일그러지고 시력이 저하됩니다.
날파리증(비문증)
광시증
시야의 장애
망막에 구멍이 생겨 액화된 유리체가
망막 아래로 스며들어 분리되는 현상입니다.
망막의 안쪽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망막이 분리되는 현상입니다.
망막 아래에 액체가 고여 분리되는 현상으로
황반부에 질환이 생길 가능성이 있어
주의해야합니다.
한쪽 눈의 망막박리나 이로 인한 시력의 약화가 반대쪽 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한쪽 눈에 망막박리가 생기면 반대편 눈에도 같은 현상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가족력이 있다면 망막박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큽니다. 대개 망막변성이나 고도근시 등 망막박리의 원인 병변이 가족력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견인망막박리나 삼출망막박리의 경우 원인이나 증상의 정도에 따라 수술을 하지 않고 지켜볼 수도 있습니다. 열공망막박리가 황반부를 침범하지 않고 주변부 일부에 국한된 경우 레이저나 냉동응고술로 더 진행하지 않도록 예방적인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범위가 넓거나 망막 중심부를 침범했다면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망막박리 수술 성공률은 80-90% 정도이며, 재발 가능성도 높지 않습니다. 그러나 망막박리 유병기간이 오래 되었거나(만성), 망막열공의 위치가 아래쪽인 경우, 망막박리 외에 다른 합병증을 동반한 경우, 망막 열공의 수가 많거나 망막박리의 범위가 넓은 경우, 증식성 변화가 동반된 경우, 병적 근시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재발 가능성이 증가하며,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