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안과/사시

약시

약시란?

눈에 특별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으나 교정시력이 0.8 이하로 나오고, 양쪽 눈의 시력 차이가 점점 벌어지게 되는 소아 안질환을 말합니다. 사시나 고도근시, 고도난시, 고도원시가 약시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약시의 원인

  • 체크 아이콘

    심한
    굴절이상

  • 체크 아이콘

    부등시

  • 체크 아이콘

    사시

  • 체크 아이콘

    백내장

  • 체크 아이콘

    안검하수

약시의 증상

  • 체크 아이콘

    생후 5개월이 지나도 눈을 잘 맞추지 못합니다.

  • 체크 아이콘

    고개를 기울이거나 얼굴을 옆으로 돌려서 봅니다.

  • 체크 아이콘

    양쪽 눈의 시력 차이가 크게 납니다.

  • 체크 아이콘

    눈을 심하게 부셔하거나 찡그립니다.

  • 체크 아이콘

    안경으로 최대한 교정해도 교정시력이 잘 나오지 않습니다.

약시 치료

가림 치료법
시력이 좋은 쪽 눈을 일정 시간 동안 가리고 약시가 있는 쪽 눈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도록 합니다.
가리는 방법은 약시의 정도에 따라 횟수와 시간을 조절하여 점차 늘려나갑니다.
안경 사용법
약시와 굴절이상이 동반되면 안경으로 교정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아트로빈 치료법
동공을 확대시키는 아트로빈 안약을 시력이 좋은쪽 눈에 점안하여 흐리게 만든 후
약시인 반대쪽 눈을 사용하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약시 FAQ

Q
가림 치료를 할 때 TV나 컴퓨터를 보면 안 된다는데 그게 사실인가요?
A

아닙니다. 약시치료의 기본원리는 정상안을 가리고 약시안을 자꾸 사용하게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상안을 가리는 치료를 할 때 불편함을 보상하는 활동(적절한 시간의 TV 시청, 컴퓨터 활용)을 하는 것은 가림치료의 순응도를 높이는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시자극이 없는 상황인 수면 중의 가림치료는 전혀 효과가 없습니다.

Q
가림 치료를 오래 하게 되면 오히려 가린 눈(정상안)이 약시가 될 수 있다던데 정말인가요?
A

드물지만 약시안의 시력을 높이기 위해 가림치료를 할 때 가린 정상안의 시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안과 전문의의 정기적인 진료를 통한 치료에 따른다면 발생 빈도 매우 낮고, 발생했을 때 가림치료를 중단하면 대부분의 경우에서 시력이 다시 회복되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Q
약시(사시, 부등시, 심한 굴절)도 유전될 수 있나요?
A

사시의 유전 가능성은 사시의 종류 및 보고에 따라 다르나 약 7 천명의 사시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환자의 30.6%에서 사시 가족력을 보고하였습니다. 특히 내사시의 경우 부모가 내사시가 있는 경우 약 18%에서 자녀에서 내사시가 발생하였다는 보고가 있으나, 외사시는 유전 가능성이 내사시에 비하여 매우 낮습니다.
굴절과 유전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여 보고 2019년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2.0 디옵터 이상의 원시, -1.0 디옵터 이상의 근시, -6.0디옵터 이상의 고도근시의 유전성은 각각 약 45%, 44%, 69%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