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막염은 포도막에 발생한 염증을 의미하지만 포도막 뿐만 아니라 가까운 조직인 망막, 유리체, 공막 등의 염증이 동반되며 2차적으로 염증이 확산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안구내에 발생하는 염증을 모두 포도막염이라고 합니다.
감염성 포도막염의 원인으로는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기생충, 원충 등이 있으며, 주로 면역저하 등 전신적인 위험인자가 있는 사람에게 생깁니다.
자가면역에 의한 포도막염
특별히 다치거나 감염 질환을 앓은 적이 없어도 안구 내 염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눈에만 염증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관절염, 혈관염 등 다른 염증질환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종양에 의한 포도막염
다른 원인의 포도막염과 증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진단이 쉽지 않지만, 면역 체계 이상에 의한 전신 자가면역 질환으로 유발되는 포도막염은 재발이 잦고 실명 위험도 높아 가장 주의해야 합니다.
심한 충혈
눈의 통증
시력저하
눈부심
비문증
증상
일반적인 유행성 결막염의 경우에는 눈 이물감, 가려움증, 눈부심, 통증, 충혈 등이 발생합니다. 포도막염에서도 통증, 충혈, 눈부심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물감과 가려움증은 거의 없습니다. 충혈된 양상도 결막염에서는 흰자위 전반에 발생하지만, 포도막염에서는 주로 검은 동자(각막) 주변에 더 심하게 발생합니다.
안약을 넣기 전에 반드시 안약병을 충분히 흔들어서 약을 고르게 섞은 다음 점안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염증이 조절된 후에는 서서히 점안하는 양을 줄여 가며 끊어야 합니다. 무분별하게 오랜 기간 스테로이드 안약을 점안 하는 경우 백내장이나 녹내장, 각막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의 처방 및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스테로이드 알약을 복용하게 되면 점차 몸이 붓는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기간 사용시에는 약을 끊은 후 회복이 가능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반드시 의사와 상의 후에 사용하여야 합니다.